스킵네비게이션

'의열의불꽃'
의열기념공원
의열기념공원
"의열(義烈)"의 정신을 후세에 전하고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독립운동의 참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 전국 최초로 건립된 기념관입니다.
'의열의 불꽃'이라는 주제로 대표적
의열활동 단체인 의열단과 조선의용대의
항일의열활동을 구현한 체험관입니다.
의열체험관 예약안내
독립투사의 의열활동을 체험해보세요.
관람시간 : 10:00~17:30 (마지막 입장 16:45)
휴관일 : 1월 1일 / 설날·추석 당일 /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국경일인 경우 개관, 다음날 휴관)
055-359-4733

의열단 창립단원

더보기
강세우(姜世宇, 1901~ ?)

강세우(姜世宇, 1901~ ?) 본명은 강비호돌(姜飛虎乭)이고, 일제 첩보문서에 강세위(姜世偉)로 적힌 경우도 있다. 1901년 8월 12일, 함경남도 삼수군 삼남면 중평장리에서 태어났다. 1918년경 만주로 건너가 봉천성 통화현 합니하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하다 1919년 5월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에 신설된 분교의 속성과정으로 이성우·이종암 등과 함께 옮겨갔고, 거기서 만난 김원봉과 뜻이 통하여 장차 행동을 같이하기로 약속하였다. 10월에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상해로 가서 영어전수학교를 거쳐 중화대학에 입학하였고, 12월에 김원봉·곽재기 등이 한 달 전 창립한 의열단의 제1차 국내의거를 위한 폭탄을 구입코자 상해로 갔을 때 재회하고 합류하여 단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남경 금릉대학에도 다녔다고 하며, 1925년에는 광동성 광주로 가서 중산대학 정치과에 입학하였다. 거기서 중국·인도·베트남·타이완 출신의 반제·반일 활동가들과 함께 ‘피압박민족연합회’를 조직하고 대표가 되었으며, 1926년 8월 중산대학에서 열린 국치기념대회를 회장이 되어 주관하였고, 11월에는 의열단 제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회 서무부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 직후 중국 국민혁명군의 장교가 되어 김원봉과 함께 무한(武漢) 방면으로 가서 북벌전에 참가하다 1927년 북경으로 옮겨가 의열단 지부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28년 중국군의 영관 장교로 복무 중이었음을 끝으로 그 후의 행적과 몰년은 미상이다.
김대지(金大池, 1891~1943)

김대지(金大池, 1891~1943) 金大地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호는 일봉(一峰)이고 김태일(金太一)·김치환(金致煥) 등의 여러 이명을 쓰기도 했다. 1891년 10월 7일 밀양도호부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847번지에서 태어났다. 10대 후반에 사립 동화학교를 다녔고, 1910년 경술국치 후 전홍표 교장의 발탁으로 중학과정의 동화학교 교사가 되어 인재양성의 일익을 담당했다. 김원봉·김상윤·최수봉 등이 그때의 제자들이었다. 1913년경 밀양에서 구영필·이수택·황상규 등과 함께 일합사를 설립하여 항일운동 조직으로 운영하다 1918년 2월경 경찰에 체포되었고, 손톱 여덟 개가 뽑히는 고문을 당한 끝에 기소된 후 4개월 징역형을 언도받아 평양감옥에서 복역하였다. 출옥 후 구영필과 함께 만주로 건너가 봉천 등지에서 재류하고 있다가, 1919년 3월경 상해로 가서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임시헌장 제정에 참여했고, 임시정부 내무부의 9인 위원 중 1인으로도 선임되었다. 11월에는 국내조사원으로 밀양에 특파되어 몇몇 재산가들로부터 군자금을 헌납 받아 상해로 갖고 갔다. 1920년 3월, 의열단의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을 위한 무기류 구입을 위해 길림에서 상해로 온 김원봉 등 단원 4인을 도와 폭약과 탄피 구입이 가능토록 해주고, 프랑스조계 보창로의 자기 집에서 폭탄 3개를 완제토록 하였다. 또한 폭탄을 국내로 밀반입코자 안동현으로 우송하는 데도 편의를 제공하였다. 1923~24년에도 상해에서 김원봉에게 의열단의 활동계획에 관해 매번 상의를 받고 의견을 내주는 고문 역할을 맡아했으며, 인각에 능한 특기를 발휘하여 ‘의’(義) 자의 윗변에 해당하는 양(羊)의 형체를 그려 넣은 의열단의 비밀인장도 고안해주었다. 이렇게 밀양 출신 청년 독립투사들의 맏형 격 위치에서 후배들을 이끌고 지도하여 의열투쟁의 새 장을 열게끔 해주고 있던 그는 1926년 문창범의 초청을 받고 러시아로 가려다 구영필의 요청으로 만주 영안현 영고탑으로 가서 머물러있게 되었다. 거기서 한동안 민족유일당운동에 진력하다 1933년 아성현 취원창으로 옮겨가 극빈 속에 한의술을 베풀며 살던 중, 1943년 음력 10월 26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1963년 건국공로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고,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으로 서훈 승격되었다. 취원창의 묘지가 옥수수 밭으로 바뀌어 유해를 찾을 수 없게 되니, 2003년에 경주 인근의 신선사 옆에 유족이 가묘를 조성하였다.
김상윤(金相潤, 1897~1927)

김상윤(金相潤, 1897~1927) 호는 초산(楚山)이고, 김옥(金玉/金鈺) 외의 여러 가명을 쓰면서 활동하였다. 1897년 9월 12일 밀양군 상남면 기산리에서 태어났다. 1910년 동화학교에 들어가 강제폐교되기 전의 1년 동안 전홍표·김대지·황상규의 가르침을 받았고, 1914년 서울로 가서 중앙학교와 배재학교에서도 수학하였다. 1919년 3월경 만주로 망명하여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6개월 단기과정을 이수하던 중에 동화학교 동창인 김원봉을 만나 의기상통을 재확인하였다. 졸업 후 10월에 김원봉 등 여러 졸업생 동지들과 함께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에 합류하여 폭탄 제조법 및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창단 직후 기획되어 바로 추진되어간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에 동참키 위해 1920년 3월경 밀입국하였고, 부단장 곽재기로부터 투탄조의 일원으로 지명 받아 서울에서 은신 대기하였다. 그러나 거사계획이 밀고에 의해 경찰에 탐지되어 6월 하순부터 동지들이 연이어 붙잡혀가니 재빨리 피신하여, 외가가 있는 밀양군 초동면의 야산에 이종암과 함께 몸을 숨겼다. 그 해 8월경에 동화학교 동창생 최수봉을 기산리 묘지에서 만나 독립운동 참여를 권하고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질 것을 제의하여 승낙 받았다. 그 후 12월에 밀양읍내의 고인덕을 만나 폭약 제조를 의뢰하고, 외피는 산중 암굴에서 이종암과 함께 만들어 폭탄 2개를 조립해냈다. 그것을 최수봉에게 건네주니 12월 27일 밀양경찰서 투탄의거가 감행되었다. 그 후 중국 북경으로 탈출하여 의열단 본부에 합류해 있다가 1923년 상해로 옮겨갔고, 기밀부원으로서 간부진의 일원이 되었다. 1924년 3월에 실행부 단원 2명을 데리고 일본으로 잠입하여 거사를 벌이려 했는데, 자금부족으로 실행이 안 되었다. 1925년 가을, 의열단의 운동노선 조정과 더불어 김원봉을 비롯한 단원 대부분이 황포군관학교에 입학코자 광동성 광주로 이동해 갈 때, 종래의 투쟁노선 고수를 주장하며 반대하고 동행하지 않았다. 그리고는 복건성 하문을 거쳐 천주의 설봉사로 들어가 있다가 1927년 10월 19일 세상을 떠났다. 1968년 건국공로 대통령표창이 수여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으로 서훈 승격되었다. 그리고 후손들이 2005년 기산리 입구와 2015년 설봉사에 기념비를 세웠다.
이성우 (李成宇, 1899 ∼ 1929)

이성우 (李成宇, 1899 ∼ 1929) 이명은 이동소(李同韶)이고, 李誠宇로 표기되기도 했다. 원적은 함경북도 경원군 송하면 송하리인데, 중국 길림성 동녕현 소수분에서 이주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성장하였다. 결혼하고 얼마 후인 1918년에 봉천성 통화현 합니하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하다 1919년 5월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에 신설된 분교의 속성과정으로 옮겨갔다. 거기서 만나 의기투합한 김원봉의 권유로 교관 서상락 및 졸업생 김상윤·이종암 등의 동지들과 함께 10월에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에 합류한 후 폭탄 제조법 및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창단 직후 기획된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를 위해 12월에 김원봉 등과 함께 상해로 가서 16개의 폭탄 제조용 탄피 및 폭약과 권총 2정 및 탄환 100발을 구입하여 안동현으로 운반하고 국내로 밀송되게끔 했다. 1920년 5월에 서울로 잠입하여 거사결행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중, 첩보를 입수하고 검거에 나선 경기도경찰부에 은신처인 인사동 여관이 6월 20일 급습당하여 최초의 피체 단원이 되고 말았다. 단장 김원봉의 신임이 두터운 선임단원으로서 활동이 많았고 적극적이었던 만큼 ‘수범’(首犯)으로 지목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1921년 6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8년형을 언도받아 함경북도 청진감옥에서 복역하였다. 거기서 김재봉 등 장기수 3인과의 공모로 1922년 8월 20일 탈옥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다시 붙잡혔다. 1928년 3월 8일 경성형무소에서 출옥하였다. 옥중에서 3년간 앓은 복막염과 늑막염으로 너무 쇠약해진 몸이라 바로 귀향하질 못하고 밀양의 동지들에게로 가서 요양하던 중 1929년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Play Stop